반응형

사주명리학(命理學) 44

대운 적용하는 법

지지에서는 투간, 월령에서 올라온 것은 향했다고 함.기토는 무토를 깎아 만든 것이다.노력하지 않으면 안되는 인생.무토는 환경의 덕을 보지만토多하면 기회를 놓친다.성격이 된 사람이 찾아온다면- 격이 흔들렸거나- 가정에 불화가 생겼거나, 특히나 자식궁성이 우선이냐, 육신이 우선이냐대운의 해석에 대한 분석대운은 준비하라는 것이다.대운은 주로 지지를 본다.세운은 천간.대운은 천간을 못쓴다. 원국에 있지 않으면 인지할때 대운이 넘어가버린다.비견, 겁재 둘다 지지에 근이 들어올때 독립이다. (사업적) 무엇으로부터 독립? - 지장간을 봐라, 충, 암합까지지지는 긍정적, 천간은 부정적1. 비견이 오면천간: 쟁재가 아님. 식상을 생하기 위해 오는 것.인비 하는지, 비식하는지를 판단. 비식을 잘하려면 삼합이 되있어야 ..

편인과 정인이란, 정인과 편인의 차이, 정편인의 궁성론

편인편인은 성격으로 치면 이래도좋고 저래도 좋다.정신세계가 발달했다고 보면된다.선비마인드의 가난한 조상이다.식신이라는 것은 내 몸이 살찌고 건강해지는 것이다.그것을 극하니 몸이 안좋다. 도식이 되는 순간 빼뺴 말라지는 것이다. 지지는 천간을 이길 수 없다고 한다.단, 천간에 편인이 있고 지지에 "재성"이 있다면내 생각은 가난하고 힘들어도 환경이 풍요롭다. 또 별개로 정인정재는 탐재괴인으로 돈의 욕심에 의해 내 권리를 몽땅 잃어버리게 된다. 식신을 극한다.- 일에 하자가 생긴다. 일의 중단이라던가.- 게임, 주색, 도박등의 유흥으로 빠지게 된다.그니까 일의 중단도 되면서 샛길로 빠지게 된다인데 이게 학문일 수도 있다.그러니까 그 당시 주변의 환경이 중요하다.연에 편인이 있다면 어떤걸 의미할까.연에 있는 육..

세운 해석하는 법, 세운 적용하는 법.

사주가 금수면 권위적인 사람이다.하지만 여기에 을목이 온다면 부하직원을 생각하는 권위자다 가장 중요한건 세운은 승패를 보는 것.나의 오행과 극이 되는 오행이 세운으로 온다.예를 들어 올해는 乙목, 이것이 극하는건 己토와 辛금이다.이런 해석이 우선되어야 한다.세운은 결과기 때문에 생보다는 "극"을 본다준비는 "상생"이고, 배운걸 써먹으라는 "극"이다.그래서 대운은 준비과정이라 "상생"을 본다.그래서 원국에 내가 준비되어 있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우선적으로 파악하고.운에서 들어왔을 때 써먹을 수 있는 사람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천간에 인성이 있으면 준비된 사람이다. 위와 같은 것을 어떻게 보느냐.1. 내가 어떤 글자를 쓰는 사람인지를 파악한다.2. 예를들어 정인을 쓰는 사람이다, 어떤 정인인지를 파악한다. (..

육신태과

재성은 유도리다, 오행으로는 水가 유도리다. 이게 土로 막히면 유도리가 없는 것많다는 것은 없다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육신의 태과불급비겁이 많으면..군겁쟁재.군비는 무리를 이룬다는 것, 월령이 건로격이나 양인격이 되어야 한다.내 환경 즉 월령이 이뤄져있어야 한다관격, 재격에 군겁쟁재가 오면 유리하다. 전문가 집단이라는 듯. 그래석 군비쟁재라는 용어를 안쓴다.관살을 제해야해서 식신재살을 통해 비겁을 유리하게 쓴다.재격에는 재라는 의미가 굉장히 강하다.재라는 환경속에서 비겁은 인구다. 예를 들어 재라는 땅을 뻇어먹으려고 서로 싸우는 것. 투자가치가 높은 땅이라는 것이다.더 나은 명예나 위치를 위해서 다투는 것(이길라면 재생관이 되어야한다)아무튼 군비쟁재는 환경을 치열하게 살고 번화가에 살고있다는 것. 좋은 ..

좌표법

연월에 길신 (정자) 이 있으면 집안이 좋음식신 - 의식주가 풍부한 환경식신 월령이 투간된 것.의식주 환경이 밖으로 드러나 자랑할만 하다.지지에만 있으면 무난하다. 형충파해 당하면 그대로 해석하면 됨.승패는 천간에 있어 지지가 박살이 나도 괜찮음커버됨연월은 부여받은것, 그래서 길신이 있으면 좋음정관은 유리함편관은 극복해야되는 그 무엇월지를 기준으로 합의 관계과, 나에게 유리한 왕지인가.원진 신살 육합 등을 봐야한다.연월의 木金은 실천적 실체적木은 실천력이 강하고 金은 잘 마무리한다.실력을 다툴때 木金- 수평적인 힘명예를 다툴때 水火- 오르내림을 추구원국에 癸甲만 있을때 己가 오면문제가 그때 드러남근데 癸己甲이 있을때 己가 오면 실력이 더욱 업그레이드 된다.연에 재관이 있으면 취직을 일찍 한다.

정인이란

정인수용성 인자正자를 쓰는 것은 (음양이 맞다는 뜻) 전적으로 받아들인다.지금, 현재 라는 뜻 내포편인은 하나의 그림을 보더라도 기준이 나에게 있어 다양한 자신만의 해석을 덧붙임정인은 그냥 설명하는대로 받아들인다"正"자는 정인으로 왕해야 한다.정관 → 정인 → 겁재 → 상관 → 정재원국을 움직일라면 에너지가 있어야 하는데, 그 첫번째가 인성이다. 인성이 없으면 관이 주는 일처리를 잘 못한다.정관이 1 인데 인성이 4이면 관설이다. 내가 바라는 권리는 이만큼인데 채워지지 않음, 월권과 이직 정관이 4인데 인성이 1이면 나에겐 너무 큰 회사.있는 그대로 (정관), 집행한다. (정인)교육분야와 행정분야, 국가조직의 인자 그래서 생존 보장 정인의 짝: 정관, 겁재정인격에 정관이 있으면 생존환경이 보장되어 있다...

편인

편인부귀빈천 승패는 천간에서 결정 난다치우친 도장 (특수한 권리나 지식, 기술)정인격은 놀고 먹기를 좋아함. ( 선비, 백수, 한량), 정인은 노동을 기피한다.정인은 하라는대로 하면 되지만 (세상에 맞게), 편인은 내가 해야함나에게 맞게 준비하고 습득한다. 그래서 의심이 많다.인성은 수용성의 인자, 편인은 편향되어 있다.정 (현재), 편(미래) 를 판단한다.따지고 묻고 의심하고. 고정된 수용성인 정인을 더욱 변화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수 권리, 특수 지식 문야, IT (편인과 상관 생재 구조)역학, 종교, 철학 (비세속적)편재랑 마찬가지로 한쪽으로 치우친 것이니 힘듬편인은 하나만 천간에 떠도 관설이 된다.정인은 국가자격증 ,편인은 민간자격증편인을 잘쓰려면 , 비견이 있던가, 편관이 있던가.비견을 쓰..

정관

정관丙庚 - 단련 (정신)丁庚 - 몸午未월에 庚이 떠있어도 그렇다.태과불급에서 병이 걸려야 성장.경험이 쌓이기 때문병만 있는 경우?약이 있는 경우?병과 약이 다 있는 경우둘다 없는 경우는?병이 무엇이고 약은 어떤걸 쓰는지 판단.그에 따른 결과치가 다르다.水, 火 多 → 정신적 문제 수다금침, 수다목부- 안팔리는 물건, 가볍고 흘러가는 인연만 만남.병을 관리하는 법오행 - 조후육신 - 억부천간에는 양간이 낫다. 이거는 무조건 약신으로 쓰고음간은 병이 될 경우가 많다.오행, 육신, 월령, 강약, 구조, 격국土가 많으면 때를 놓침.己가 다치면 내 몸이 다침.정관제도, 법, 규칙, 규범합리적, 겉으론 이타적, 속으론 이기적편관은 겉 속 다 이타적이성적, 객관적정편관 혼잡일때 세운,대운에 의해 어느 쪽이 강한지를..

편관이란.. 편관 해석법

왕상휴수사에 대하여천간의 육친과 지지의 육친이 다르다.- (추후 작성 예정)고법은 지지 환경을 본다. (신분과 아버지가 어떤 일을 하는 지)그래서 그 이후에 신법을 다루기 시작한다. 자기의 의지가 중요해서편관이란어려운 환경을 극복해야하는 육신무엇인가 해결해야 하는 환경천재지변, 삼재팔란. (수,풍,화), 극복하려면 식신이 식신제살을 해야함.식신제살, 상관합살은 내 실력을 어려움을 대처하는 것.인성으로 대한다는 것은, 긴 시간 인내하며 버티는 것편관은 희생을 강요한다.책임의식이 강하단 뜻이타심. 호승심. 하극상편관 편인은 어려움을 인내할 준비가 되어 있다.편관을 "제"해줘야하는데 그래서 인성은 천간에 뜨면 안된다.식신을 죽여버리기 떄문에.그래서 인성은 아래에 있는 것이 좋다.편관이 있는데 근이 있는 여자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