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설천간에 겁재가 있는 사람은 재생관이 되어야 한다. 관성이 겁재를 극하여 순화시켜준다. 겁재는 강탈, 겁탈, 경쟁자, 배신의 개념을 담는다. 이것을 재생관을 통해서 "나"를 보호한다는 것.하지만 직업물상으로 사용할때 재생관보다 중요시하는게 식신이다.식신과 재생관을 굳이 비유하자면 식신은 나의 능력이고 재생관은 능력에 따른 결과다.나의 재능이라고 볼 수 있고 재능에 따른 결과라고 볼 수 있다.그리하여 식신의 유무부터 따져보아야 한다.그 뒤에 결과치인 재성과 관성이 따라오는 가를 보는 것이다.월지로 부터 격을 해석한다. 관격이라 관이 투간되는 것은 괜찮지만 재격은 재가 투간되는 것은 좋지않다고 본다.이유는 "재극인"하기 때문이다.관인상생하는 구조를 직접적으로 때릴 수도 있고 영향은 수도없이 많다.관을 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