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命理學)/천간오행론

을목이란? 을목사주의 특징 (乙)

soojjmin 2024. 9. 13. 13:32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그동안 사주명리학을 공부하며 보고 배운 것들을 블로그에 기록해보고자 합니다.

계속해서 수정해나갈 예정이라 부족함이 있겠지만 천천히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목차

1. 을목의 상징

2. 을목의 특징과 단점

3. 을목과 다른 천간과의 조화


오늘 작성할 오행은 을(乙)목입니다.

을목은 작은 나무와 화초, 꽃, 넝쿨식물을 뜻합니다. 부드럽고 유연하며 환경에 잘 적응을 합니다.

끈기도 있으며 자신을 낮출 줄 알아 사회생활에도 잘 적응을 합니다. 다만 혼자 자립할 수 없는 乙목이니 

주변에 의지를 많이 합니다. 주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오행: 木
음양: 음(陰)
물상: 넝쿨식물, 나뭇잎, 갈대, 꽃
방향: 동쪽
계절: 봄 
색: 청색
맛: 신맛
숫자: 8
신체: 간, 신경, 근육

  기본 성격 많을 경우 장점 많을 경우 단점  없는 경우
착하고 어질다.
인간적이다.
추진력이 있다.
솔선수범한다.
명예를 추구.
주위를 돌본다.
리더쉽이 있다.
행동력이 좋다.
뒷 일을 생각못한다.
쉽게 지친다.
독선적이다.
진취적이지 못하다.
끈기가 없다.
리더쉽 부족


특징
甲목이 자라나는 나무의 물상이라면 乙목은 넝쿨식물입니다.
성장, 약진, 발육을 의미합니다.
 乙목을 가진 사람은 세밀하며 아름다움과 원만함 그리고 부드러운 성품의 소유자이고
또한 넝쿨식물과 갈대의 물상과 같이 어디서든 강인한 적응력을 보여주며 부드러운 임기응변의 능력자입니다.
대처능력이 남다르고  실리적이고 융통성이 있으나 이익에 따라 옮겨 다니거나 결정하는 이익 중심적 성향을 지닙니다.
외유내강의 성정이라 겉은 부드러우나 속은 생명의지가 강합니다
유연함과 굴신성의 특성을 가지니 끈기가 강하고 쉽게 주저하지 않습니다. 
甲은 명분을 추구한다면 乙은 실리를 추구합니다.

단점
겸손함과 끈질긴 인내심이 특징이지만 그에 따라 고집과 자존심이 강합니다.
乙목은 甲목과 마찬가지로 혼자서는 生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주변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때로는 甲목이 있어 甲목을 버팀목 삼아 타고 올라가서 목표한 바를 펼칠 수 있지만 
없을 경우 바닥에서 생활하는 그런 삶이 될 수 있다. 이것이 스트레스와 우울증의 원인이 됩니다.
기본적으로 木의 성향은 발산하려는 성질인데 이것이 억눌리기 때문입니다.
임기응변에 능하다고 하였으나 위기에 쳐하면 지나치게 이기적이게 됩니다.
 
乙목은 甲목보다 현실적이고 사회주의적이고 그러한 성격이 갈등과 불화를 불어일으키기도 합니다.


乙목과 주변 천간의 조합

 

乙목이 甲을 보면 남매지합이라 하여 乙목이 甲목을 이용해 목적을 이룹니다.
따라서 甲은 乙목이 불편할 수 있지만 乙목한테는 좋습니다.
 
乙목이 丙화를 보면 꽃을 만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아주 좋습니다.
미모 또한 뛰어나며 성격도 밝고 명랑합니다, 재능을 발휘하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즐겁고 활기찬 삶을 살게 해주지만 선택을 잘못하여

남녀관계가 복잡해지거나 가사를 탕진하는 삶을 살게 될 수 있어 행동을 조심해야 합니다.

乙목이 癸수를 보면 좋은 지식과 자질을 습득할 수 있는 배경이 됩니다.
 
토는 木의 터전입니다. 따라서 토가 사주에 없다면 자기의 자질이 머무를 수 있는 배경이 온전하지 못하다고 해석합니다.
축토와 진토같은 수분을 머금은 옥토가 좋습니다.
술토와 미토같은 건토를 만나게 되면 태양의 기운인 병화를 가립니다.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다는 불만을 가지게 됩니다.

乙목은 기본적으로 아름다운 꽃이라 나비와 곤충들이 꽃에 머물듯 사람이든 물질이든 자연적으로 오기마련입니다.
하지만 그 꽃이 져버린다면 그것이 끝이란 것을 알고 노후대비를 해야하며

본인 인생에서의 전성기를 잘 활용하여 뜻하는 바를 이뤄야합니다.


이렇게 을목의 특징과 개념을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궁금하신 부분이나 언급되지 않은 부분은 비밀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