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재물운에 대하여 간단하게 작성해볼까 합니다.
목차
1. 신약과 신강
2. 재왕과 재약
본인의 팔자가 신약한지 신강한지 판단하고.
재성이 강한지 약한지를 판단 후 본인의 사주에 맞는 카테고리를 찾아가시면 됩니다.
사주가 신약한가? 신강한가?
신약과 신강의 차이를 아셔야합니다.
- 신강: 나를 뜻하는 일간과 같은 오행과 도와주는 오행, 즉 비겁과 인성이 많으면 신강합니다.
- 신약: 식상,재성,관성이 많으면 신약하다고 판단합니다.
단, 일간의 뿌리가 월지나 일지에 위치하여 있고 비겁과 인성이 하나라도 있으면 수가 적어도 강하다고 판단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팔자의 균형이 맞지 않지만 밸런스를 이루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각자 재물운을 판단하기 위해 우선 신약, 신강의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재성이 강한가? 약한가?
재물운을 판단하는 기준이 여러가지 있지만 우선 팔자를 봅시다.
- 신강재왕: 몸도 강하고 본인이 일할 수 있는 자리도 많다.
- 신강재약: 몸이 강하나 일할 곳이 부족하다.
- 신약재왕: 내가 약한데 해야할건 많다
- 재다신약: 신약재왕과 달리 "재"가 많아서 내가 약해졌다는 뜻입니다.
- 종재격: 재를 쫒기위해 사는 사람. 재에 웃고 우는 사람입니다.
- 비겁쟁재: 돈을 두고 여러사람이 경쟁을 하는 모습입니다.
일부만 작성한 것인데 이것만 해도 많아보입니다.
어렵고 햇갈리시더라도 판단기준을 자세히 적어놓았으니
여기서 본인의 사주가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셔야 합니다.
1, 종재격 조건
- 월지가 재성이여야 한다.
- 월지를 중심으로 월지 포함 삼합이나 방합을 이뤄야 한다.
- 천간은 인성과 비겁이 없어야하며 재성이 4개 이상이어야 한다.
예외 (지지에 인성 식상이 있지만 합으로 묶이는 경우)
- 지지가 삼합을 이룰경우 예를 들어 子가 재성이될 경우 申子辰방합이 됩니다.
- 여기서 申은 인성이지만 삼합운동으로 인하여 묶이기 때문에 재를 거스른다고 판단하지 않습니다.
- ㅔㅔ천간에 비겁, 인성이 있어도 뿌리가 없다면 가종재격으로 판단합니다.
어떤 운이 들어와야하는가
- 식상운
재성을 종하기 때문에 재성을 만들어주는 식상운이 들어오는 것이 좋습니다. 설령 본인의 사업이 망하더라도 오뚜기처럼 다시 일어나게 해주는 것이 식상운입니다.식상운이 없다면 재성을 충하게 되어 종재하지 않고 흉하게 됩니다.
2. 재다신약 조건
- 사주 원국에 재가 많으며 인성과 비겁이 없어 본인 자체가 약한 것을 뜻합니다.
종재격과 재다신약의 판단이 처음보시면 구별하기 힘듭니다.
위에 작성한 표를 보시면 종재격은 "월지가 재성이고 주위로 합을 하여야한다" 라고 하였습니다.
지지 자체가 본인의 환경을 뜻하니 "종재격은 재의 환경에서 재를 쫒는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조건이 완성되지 않는 사람이 대부분이며 위와 같은 경우가 되지 못하면 재다신약입니다.
재다신약한 경우는 일간의 뿌리가 없으면 재성에 의해 이리저리 흔들리게 됩니다.
결국 본인이 강해야 재성을 휘어잡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오히려 돈을 쫒는 것이 나에게 큰 손해로 돌아옵니다.
특히 재성은 남자에게 부인인데 부인이 강할뿐더러 내 재산을 탕진하고 훔치는 그런 형상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운이 들어와도 부자가 되기는 힘듭니다.
대부분 처음 판단하기 시작하면 본인의 사주가 재다신약하다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아래 신약한 경우의 다른 판단을 여러가지 작성해보았으니 맞는 판단법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3. 신약재왕 조건
일간이 뿌리가 있지만 허약한 경우가 신약재왕입니다
일간의 뿌리가 있어 주변에 재성이 강하여도 그것을 위해 싸울 수 있는 환경이 됨을 말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 신약한 일간이 강해지면 됩니다.
남자에게 있어 재성은 여자,부인을 뜻합니다.
부인이 강하다는 뜻이니 부인이 주권을 가지게 되고 경제적 통솔권을 가집니다.
부인에게 자금관리를 맡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운이 들어온다면 재물을 가질 수 있는 원국입니다.
어떤 운이 들어와야하는가
- 비견, 인성운
일간이 강해지는 비견, 인성운이 들어오면 좋습니다.
내가 강해지니 재물을 쥘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 것과 같습니다.
4. 신왕재약 조건
신왕재약은 본인의 뿌리가 있어 일간이 강하지만 재성운의 흐름이 약한 경우를 말합니다.
어떤 운이 들어와야하는가
- 식상, 재성운
다수의 업이 아닌 하나에 집중을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개인적 능력이 뛰어나 재능으로 돈을 버는 것입니다.
5. 신왕재왕 조건
신왕재왕은 일간도 강하지만 재성도 강한것을 뜻합니다.
나도 강한지만 해야할 일도 많은 모습이라. 나라는 사람의 그릇이 얼마만큼 크냐에 따라 달렸습니다.
다만 비견이 아닌 겁재가 천간에 자리할 경우 물질을 두고 경쟁하는 형상이니 쟁취할 수 있는 양이 줄어듭니다.
이럴경우 "관성운이 들어와" 비겁을 억제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6. 신약재약 조건
나도 약하고 재물도 약합니다.
큰 부자가 되기는 어렵습니다. 그릇이 작기에 작은 돈에도 탐욕이 있어 그것이 곧 자신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신약재약에 해당하는 경우 식상이나 관성이 강합니다.
"인생의 목표를 돈이 아닌 직업적 명예나, 자신의 재능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마치며..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본인이 돈을 벌기 위해서는 어떤 운이 좋은지를 어느정도 판단하셨을 겁니다.
만세력을 켜 대운과 세운을 찾으시면 됩니다.
물론 그걸 찾는 것이 정말 고수의 영역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나름대로 나의 앞길을 헤아려보는 것이 의미가 있으니까요 ㅎㅎ
대운과 세운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방법도 곧 올려서 태그해놓겠습니다!
'사주명리학(命理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충(沖) 활용법 (4) | 2024.12.05 |
---|---|
공망이란 무엇인가. (적용법, 해소법) (0) | 2024.12.05 |
삼기 三奇, 천을귀인 ,월덕귀인 (0) | 2024.10.20 |
천간합(天干合) (0) | 2024.10.13 |
상생과 상극 (0) | 2024.10.06 |